본문 바로가기

방합2

사주명리학, 지지(地支)의 합은 어떤 작용을 할까?(육합, 삼합, 방합) 지지(地支)의 합에 대해 알아보자.  앞서, 지지의 충(沖)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번 시간에는 합(合)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지지(地支)의 합은 천간(天干)과 달리 육합(六合), 삼합(三合), 방합(方合)이 있다.  육합은 두 글자가 많나 합을 이루는 것으로 자축(子丑), 인해(寅亥), 묘술(卯戌), 진유(辰酉), 사신(巳申), 오미(午未) 합(合)이 있으며, 삼합은 생지, 왕지, 고지의 합으로 해묘미(亥卯未), 인오술(寅午戌), 사유축(巳酉), 신자진(申子辰) 합(合)이 있다.그리고 방합은 계절의 합으로 인묘진(寅卯辰), 사오미(巳午未), 신유술(申酉戌), 해자축(亥子丑) 합(合)이다.  충은 서로 만나서 부딪쳐 깨어지거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며, 합은 서로 화합하는 관계를 나타낸다... 2025. 2. 2.
용신(用神)의 합(合)과 상충(相忠) 작용 용신(用神)의 합(合)과 상충(相忠)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앞선 포스팅에서 용신(用神)이란 월령(月令)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1년 24절기를 이분(춘분, 추분)과 이지(동지, 하지), 사립(입춘, 입하, 입추, 입동)으로 나누어 3개의 절기 씩 8개의 환경으로 나눈 당령용신(當令用神)의 환경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당령용신(當令用神)의 환경적 특징   1) 자축(子丑) 월령[동지~입춘]: 지식습득  2) 인묘(寅卯)월령[입춘~춘분]: 교육체계  3) 묘진(卯辰)월령[춘분~입하]: 정책체계  4) 사오(巳午)월령[입하~하지]: 운영체계(조직관리, 조직운영)  5) 오미(午未) 월령[하지~입추]: 기술체계(4차 산업, 금융환경)  6) 신유(申酉)월령[입추~추분]: 생산체계(공산품 제조 환경)  7) .. 2024. 9. 8.